저서소개

금융환경 변화와 통화정책

송무학수 2007. 1. 19. 11:20
금융환경 변화와 통화정책
 
  도서분류 :  경제.사회
  지은이:  함정호 외
  출판사: 지식산업사 :  
  면 수 :  732
  값 :   \27,000
  출간일 :  2000/10/23
  판 형 :  신A5
  ISBN :  89-423-3046-0
  검색수 :  2975 번째 검색

 책의 줄거리(머리말 )
세계적인 금융 자유화·국제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국내외 금융환경의 급속한 변화가 통화정책의 역할과 전통적 파급경로에 어떤 변화를 주고 있는지를 분석한 경제이론서. 저자들은 한국은행 조사국에서 일하며 통화정책을 연구해 왔던 전문가들.

저자들은 세계 금융환경의 변화는 통화정책의 독자적 운용여지를 줄이고 기존 통화정책의 수단의 효과를 제약하는 등 통화정책 운용에 새로운 도전과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고 말한다. 이런 상황에서 통화정책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의 목표, 운용전략, 운용결과와 절차들이 일반국민에게 투명하게 알려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그간의 연구논문들을 책으로 펴낸 것이다.

1부에서는 주요선진국들의 통화정책 운영방식을 비교 고찰하면서 전환기에 우리나라가 통화정책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갖춰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또 금리중시 통화정책의 운용방안과 물가안정목표제와 통화정책의 함수관계를 자세히 고찰하고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와 파급시차를 분석하고 있다.

2부에서는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통화정책의 과제를 신용경색현상과 은행자산구성의 변화, 자본유출입 확대, 자본시장의 발전, 은행건전성 규제감독, 자산가격변동,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등으로 세분화해 고찰한다
 서 평 / 2000년 11월 17일 한국일보
통화정책 투명·공개성 촉구

국가간 자금이동의 확대로 통화정책의 독자성이 제약받고 있다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됐다. 또한 직접금융시장의 발달로 은행대출은 저조해지고 있는 반면 주식과 채권시장은 상대적으로 활성화한 실정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수석조사역 함정호 박사 등 8명이 지은 이 책은 외환위기 전후에 일어난 우리나라 통화정책 운용 여건과 운용 방식, 향후 발전방향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보고서이다. 금융시장의 범세계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전자지급결제수단의 확산 등 국내외 금융환경의 변화도 꼼꼼하게 훑고 있다. 경제위기감이 피부로 느껴지는 요즘, 통화정책의 투명성과 공개성을 높이자는 이들의 주장이 매우 설득력 있게 들린다.

마이리뷰 / 통화정책은 누가 어떻게 왜 하는가-과정과 결과에 대한 궁금증해소 (평점:)
2000-11-24 10:45

통화정책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은 그 때 그 때의 구체적인 이슈에 한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외환위기를 전후해서는 환율, 외환보유액, 외채 등이 연일 신문과 방송에 등장하였고 한 동안은 사람들 서넛만 모이면 주가, 부동산가격 등이 대화의 주제가 되곤 하였다. 반면 통화정책의 목표니 운용방식, 정책수단의 선택, 그리고 파급경로 등에 대한 관심은 소수의 전문가들에게만 한정되어 온 것 같다.

사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주식 및 부동산가격, 환율, 금리 등의 변동이나 금융기관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는 부(wealth)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통화정책은 경제활동의 아주 저변에 자리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외환위기라는 큰 사건을 경험하면서 사람들 모두가 세상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그렇지만 그 변화의 동력이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러한 변화가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변모시키고 있는가 하는 부분에 이르면 두려움마저 들게 된다.

이번에 새로 나온 <금융환경 변화와 통화정책>은 우리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서고 있지만 그 실체를 알기 어려웠던 최근의 통화정책에 관한 주요 논의를 한 데 모은 책이다. 책의 내용이 일반인들이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통화정책에 대해 관심 있는 사람들이라면 적어도 그 관심의 일단을 이 책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우선 책 전체의 문제의식과 내용을 개괄하고 있는「서장」에 이어「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이해」,「금융환경변화와 통화정책의 과제」라는 부제아래 각각 7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 책의 두께가 다소 부담스러운 사람은 우선「서장」을 읽어보기 바란다.

「서장」은 국내외 금융환경의 급속한 변화가 전통적인 통화정책의 파급경로에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기존 통화정책 운용방식의 변화를 불가피하게 할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통화정책 수단을 무력화함으로써 전반적인 통화정책의 역할과 효과를 크게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통화정책 운용의 발전방향과 통화정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각장의 내용을 약술하고 있다.

그런 다음 각자의 취향에 따라 관심부분을 골라 읽으면 된다. 현재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틀(framework)과 운용방식에 관심이 있다면 1부를, 금융환경변화에 따른 주요 이슈에 관심이 있다면 2부를 주로 읽으면 될 것이다.

필자들은 모두 한국은행에 재직하고 있는 이코노미스트들로서 이들의 연구는 개별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보이지만 일관된 주제는 그 동안의 급속한 금융환경 변화속에 통화정책의 역할과 유효성을 어떻게 제고해 나갈 것인가 하는 점에 있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포괄성과 다양성을 감안할 때 <금융환경 변화와 통화정책>은 앞으로 상당기간 통화정책과 관련된 논의에서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통화정책이 우리의 생활과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통화정책의 실체에 대한 이해에 목말라하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목    차
. 책머리에 ...3
서장. 함정호 ...21
제1부.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이해
제1장. 전환기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41
1. 머리말 ...41
2. 통화정책 운용체계에 대한 논의 ...44
3. 주요국의 통화정책 운용방식 ...68
4.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운용방식 ...83
5.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96
제2장. 금리중시 통화정책 운용방안 ...123
1. 머리말 ...123
2. 통화정책 운용방식 ...125
3. 금리중시 통화정책 운용방안 ...144
4. 금리중시 통화정책을 위한 정책과제 ...151
제3장. 물가안정목표제와 통화정책 ...167
1. 머리말 ...167
2.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한 이해 ...170
3. 물가안정목표제 운용상의 주요 논점 ...195
4. 물가안정목표제의 성과 ...212
5. 맺음말 ...214
제4장.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 금리파급경로 ...231
1. 머리말 ...231
2. 물가안정목표제와 금리경로의 중요성 ...232
3. 금리의 파급경로 ...235
4. 금리준칙과 목표금리 ...247
5. 정책적 시사점 ...249
제5장. 통화정책의 파급시차 ...265
1. 머리말 ...265
2. 통화정책의 파급시차에 관한 이론적 논의 ...266
3. 통화정책의 파급시차에 관한 주요국의 분석결과 ...274
4.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파급시차에 관한 실증분석 ...284
5. 요약 및 시사점 ...298
제6장. 새로운 적정 통화지표의 모색 ...305
1. 문제의 제기 ...305
2. 통화의 정의 ...307
3. 현행 통화지표의 문제점 검토 ...312
4. 새로운 적정통화지표의 구성 ...320
5. 적정통화지표의 선정 및 향후 과제 ...349
제7장. 새로운 정보변수의 개발 및 활용 ...369
1. 머리말 ...369
2. 정보변수전략의 의의 ...371
3. 정보변수로서 신용 및 부채지표의 유용성 검토 ...379
4. 결론 ...406
제2부. 금융환경 변화와 통화정책의 과제
제8장. 신용경색현상과 통화정책 ...413
1. 머리말 ...413
2. 신용경색의 원인 및 실물경제와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 .416
3. 신용경색의 발생여부 판단을 위한 기술적 분석 ...423
4. 신용경색 발생여부의 식별을 위한 실증분석 ...435
5. 요약 및 시사점 ...443
제9장. 은행자사구성 변화와 통화정책 ...449
1. 머리말 ...449
2. 은행자산구성의 역할에 관한 논의 ...451
3. 주요국 은행자산구성 변화와 통화정책 ...461
4. 우리나라 은행의 자산구성 변화와 원인 ...468
5. 실증분석 ...485
6.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494
제10장. 자본유출입 확대와 통화정책 ...503
1. 머리말 ...503
2. 자본유출입 확대가 통화정책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505
3. 우리나라의 자본자유화 추진 현황과 자본유출입 변화 추이 ..516
4. 실증분석 ...522
5. 정책적 시사점 및 대응방향 ...545
제11장. 자본시장 발전과 통화 정책 ...563
1. 머리말 ...563
2. 최근 자본시장 발전의 주요내용 ...564
3. 최근의 자본시장 발전이 통화정책에 미친 영향 ...573
4. 맺음말 ...586
제12장. 은행건전성 규제감독과 통화정책 ...593
1. 머리말 ...593
2. 통화정책과 금융감독정책의 관계 ...596
3. 건전성규제감독 강화에 따른 은행의 금융형태 변화 ...612
4. 주요 선진국의 금융감독당국과 통화당국 간의 업무협조체제 .620
5. 중앙은행의 금융감독관련 기능 제고 방안 ...630
6. 요약 및 결론 ...636
제13장. 자산가격변동과 통화정책 ...645
1. 머리말 ...645
2. 자산가격변동의 통화정책적 의의와 효과 ...647
3. 자산가격변동에 대한 주요 선진국의 정책대응과 시사점 ...658
4. 우리나라 자산가격의 변동 추이상 주요 특징 및
. 거시경제지표차의 관계 ...672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690
제14장.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통화정책 ...697
1. 머리말 ...697
2. 정보통신기술 발전이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 ...699
3. 우리나라의 전자금융 진전과정과 전망 및
. 지식기반산업 발전 현황 ...707
4. 정보통신기술 발전이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과제 ...716
. 찾아보기 ...726
 저자 약력
함정호
성균관대학교, 미국 텍사스주립대(Ph.D). 한국은행 조사국 수석조사역(1급). 『통화금융경제』(비봉출판사, 1996), 『우리나라 통화금융경제의 이해』(비봉출판사, 1996), 「우리나라 금융제도의 발전방향」(1999)

김현의
고려대학교, 미국 오하이오주립대(Ph.D). 한국은행 조사국 선임조사역. 「우리나라 은행대출시장의 초과수요 규모 추정」(1997), 「통화와 인플레이션의 관계분석」(1997)

'저서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rth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and the Korean Economy  (0) 2007.01.19
한국 은행산업의 진로  (0) 2007.01.19
한국경제의 선택  (0) 2007.01.05
우리나라 통화금융의 이해  (0) 2007.01.03
통화금융경제  (0) 2007.01.02